현대자동차 서비스센터에서 자가정비로 엔진오일을 교환 뿐만 아니라 간단한 자가정비를 할 수 있다.

보통 브레이크등은 더블램프로 구성되어 있다.(특성이 다른 두개의 필라멘트가 하나의 전구안에 들어있다)
하나는 헤드라이트 불을 켜면 들어오는 희미한 붉은색 램프이고,
나머지 하나는 브레이크를 실제로 밟으면 들어오는 매우 밝은 붉은색 램프이다.
물론 전구는 색상이 없고, 차량 외부의 붉은 플라스틱이 무색의 불빛을 붉은색으로 표현시켜준다. :)

브레이크를 밟은상태에서 직접 육안으로 브레이크등이 나갔는지 확인하기가 어려웠는데, 주변사람들이 브레이크등 한쪽이 나간거 같다고 알려줘서 알게되었다.
(주1: 야간 헤드라이트켠 상태에서 약한 붉은 브레이크등은 켜져있기 때문에 진짜 브레이크등이 나갔는지를 확신하기 힘들었다)
(주2: 내차량 뒷쪽의 차량등에 비치는 브레이크등을 백미러로 확인하면 가능하긴 하다. 하지만 믿고싶지 않았었다. :( )

아반떼xd의 브레이크등은 순정부품으로 약 600원정도에 판매된다.

교환작업 순서는 아래와 같다.
참고로 브레이크등 교체가 처음이라 거의 한시간 걸렸다. 다음기회에는 5분안에 할수 있을 거라 확신한다.

1. 뒤트렁크를 연다.
2. 브레이크등 뒤쪽부분의 트렁크 내부를 자세히 들여다 보면,  +자 나사가 2개가 있다. 드라이버로 풀어준다.
3. 트렁크 내부의 시트지(검정색털달린시트)와 브레이크등 뒤쪽부분의 시트지는 분리될수 있다. 손으로 브레이크등 뒤쪽의 시트지를 뜯어내라.
   (이 시트지는 감쪽같이 다시 원상복구 가능하다, 걱정말고 뜯어내라)
4. 렌치나사가 3개가 있다. 이들을 풀어내라.
5. 풀어낸 렌치나사 3개외에 1개의 검정캡이 달린 나사같은게 있다.
   (이 검정캡을 제거하느라 거의 40분정도 소요되었다. 현대자동차 정비반 아저씨한테 부탁했는데, 그 아저씨도 한 30분동안 낑낑 거리다가 겨우 해결해 주셨다. 그분은 더 고급차만 수리하시던 분이었던거 같다. 이게 쉬운건데 이렇게 안될리가 없는데... 라는 눈빛으로 열심히 도와주셨다. 너무나 감사하다. 지나가던 다른 정비반 아저씨도 한마디 거드신다. 아참 저거 xx하게 안빠지는거라고 ㅎㅎ)
   이 검정캡나사는 풀어낼수 없도록 디자인된 것이다. ㅡㅡ; 얼마나 황당한가?
   막대같은 도구를 사용해서 이 검정캡 나사를 바깥으로 밀어내면서 전체 브레이크등을 빼내면 된다.
6. 빼낸 브레이크등 세트에서, 다른것은 건드리지 말고, 브레이크등에 해당하는 램프만 돌려서 빼낸후 교체한다.
   (교체하기전에 필라멘트가 두개있는 것인지 확인하고, 그중 하나가 시커멓게 그을려 있는 지 확인한다.)
7. 조립은 역순으로 해준다.
 

처음 운전면허를 따기위해서 도로주행을 나가보면, 옆에 동승해주신 분들은 항상 브레이크를 꽉꽉 밟으라고 이야기한다.

4거리에서 빨간 신호등이 오는경우, 필자는 도로주행때 고속으로 진입하는경우에는
브레이크를 밟았다 떼고 밟았다 떼고를 반복했었다. 너무  쎄게 밟으면 차가 미끄러져서 사고날까 싶어서 ^^; 뭐 ABS 수동장치인 셈인가? ㅎㅎ
근데 그짓하다가 동승자한테 엄청 혼났다.
'밟으라고 하면 그냥 쎄게 꽉 밟으세요! 안미끄러져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후 면허를 따고 운전을 하다보니, 브레이크를 꽉밟으면 차가 덜컹 하면서 멈춘다는것을 느끼기 시작했다. 어느정도 여유가 생기기 시작했던 것이다. ^^
그러다, 그냥 우연히 정지상태가 되기 직전에 브레이크를 살짝 떼었더니 덜컹거림이 없어졌다.

그후부터는 브레이크 잡는 요령을 익히게 되었다.
1) 긴급상황시에는 무조건 꽉 밟을것!
2) 긴급상황이 아닌경우(정차시까지 충분한 거리가 확보되는 경우),
   처음은 브레이크를 약간 세게 밟고, 차의 속도가 약 5km/h이하로 내려가면
   브레이크를 살짝 놓아준다.
 
   그렇게되면 차는 멈추지않고 느린속도로 진행하게된다.
   이때 아주 약하게 브레이크를 밟아준다.

이렇게 2번처럼 해주었더니, 정말 똥차가 고급차처럼 부드럽게 멈추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다. ^^

수학 잘하시는 분들입장에서 설명하면,
차의 속도를
시간-속도 곡선으로 따진다면 S자형 곡선이 되겠습니다. 이걸 다시
시간-가속도 곡선으로 따진다면 선형감소하는 가속도 곡선이 나오겠네요 ^^;;

즉 차에탄 사람이 느끼는 덜컹거림은 부드럽지 못한 가속도(감속도)때문이거든요.
이 가속도를 최대한 부드럽게(선형)으로 변화되도록 차의 속도를 제어하면,
덜컹거림은 엄청나게 줄어듭니다. ^^

주차장에 전면주차를 해놓고,
아침에 시동걸고 사이드브레이크를 내린후에,
차를 후진할려고 기어를 P에서 R로 옮기면
그 순간 뻑뻑한 기어의 힘을 이겨내고
강제로 옮겨야 할때가 생깁니다.

마치 기어를 붙잡고 있는 P기어의 톱니바퀴가 다 뭉개질거 같은 느낌이 들죠.

이런일을 자주 겪게된다면 결국 기어수명이 짧아지게 될겁니다.


이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차를 주차할때부터 잘해야 합니다.

1) 주차시
D나 R에서 곧바로 P로 옮기지 말고,
D나 R에서 N으로 옮긴후, 사이드브레이크 걸고, P로 옮기도록 한다.

2)출발시
시동후 사이드내린후 P에서 N으로 옮기지 말고,
시동후 P에서 N으로 옮긴후, 사이드브레이크 풀고 D나 R로 옮기도록 한다.

사소한것부터 시작해서 자동차 관리를 잘해야 오래 잔고장없이 탈수 있겠죠? ^^

브레이크 액이 정식명칭입니다. 브레이크 오일은 틀린 명칭이지요.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많이 사용되는 브레이크 액은 DOT3와 DOT4 가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오일성분이 아닌
에틸렌 글리콜성분입니다. 알콜과 매우 비슷한 성분이지요.

브레이크액은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제동력에 의해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를
거쳐 각 바퀴의 캘리퍼나 휠실린더에 압력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그 중요도가 매우 높
습니다. 그런데 메이커에서 권장하는 교환주기인 2~30000km 마다 교체가 거이 지켜지지
않고있는 실정이죠. 실제로 거의 교환하지 않아도 일반운전자들이 거의 차이를느끼지 못
할만큼 성능상 저하가 없는것도 사실이긴합니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브레이크액의 주성분은 비광유계인 글리콜(Glycol)계 좀더 정확히
말하면 에틸렌 글리콜이 주성분입니다. 글리콜계는 수분을 매우 잘 흡수합니다. 수분을
잘 흡수하지 못한다면 브레이크액과 물이 분리되어 금속 부분에 부식을 일으키고 겨울철
에는 분리된 수분이 동결되어 제동의 상태가 급격히 저하됩니다.

그래서 브레이크액은 오일성분이 아닌 수분을 잘 흡수하는 에틸렌 글리콜계를 사용합니
다. 브레이크 오일의 규격으로는 DOT3 와 DOT4가 있는데, 이는 끓는점의 차이입니다.
DOT3의 끓는점은 수분이 전혀없는 상태에서 205도, 그리고 수분이 다량 함유된경우에
140도이며, DOT4는 수분이 전혀없는 상태에서 240도, 수분이 다량 함유된경우 155도 입니다.

그러면 DOT4를 사용하면 좋겠지만, 끓는점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글리콜의 함유량이
많아져서 수분에 더더욱 취약합니다. 그만큼 수분흡수를 잘한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따라서 브레이크 액의 교환주기가 DOT3보다 짧아서 경제성 측면에서는 불리합니다.
브레이크는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수분이 다량 함유된 브레이크 액을 사용할때는 고속
제동이나 내리막길 제동에서 브레이크 액이 끓어버리는 베이퍼록 현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실제로 일반적으로 운전할때 베이퍼록을 경험하기는 힘들지만, 시속 160에서 급제동을 시
작하면 대부분의 국산차들은 시속 40정도까지는 급격히 속도가 떨어지지만 그 이후로는
브레이크가 거의 말을 듣지 않습니다. 베어퍼록이 발생한것이지요. 메이커에서 로우 코스트
화를 위해서 브레이크 디스크를 넉넉하게 설계하지 않아서 브레이크 디스크에 열들이 축
적되고, 이 열은 발산하지 못해서 브레이크 액을 끓게 만듭니다. 한번 이렇게 열을 받은
브레이크 디스크는 변형되어 제 역할을 하지 못합니다.

이때 브레이크 액이 수분함유량이 낮다면 베이퍼록 현상은 오히려 더 늦게 나타나게 되고
차는 그만큼 빨리 제동을 마칠수가 있었겠지요... -_-;;
이처러 브레이크 액은 필수교환 품목중의 하나입니다. 그냥 보충만해서 타는것이 아니지요.
실제로 브레이크액은 보충할 필요가 전혀없습니다. 만일 보충할정도로 유실이 된다면,
다른부분을 점검하여 브레이크액이 새는부위를 수리해야 합니다.

이토록 브레이크액을 한번도 교체하지 않고 5년이상 타게되면 그때부터 여러가지 부분에서
문제점들이 속속 발생하게 됩니다. 바로 브레이크 캘리퍼의 리턴불능현상이 나타나지요.
브레이크액에 있는 다량의 수분으로 인해서 캘리퍼나 마스터 실린더의 녹을 촉진시키게 되고
이 녹은 마스터 실린더 내부의 고무부품의 경화로 마스터 실린더가 터지거나, 캘리퍼 피스
톤의 부트고무를 경화시켜 고무가 찢어지거나, 캘리퍼 피스톤이 고착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5년정도의 차령을 가진차들이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하러 왔을때 캘리퍼를 리턴시키려면 어지
간하게 힘들거나 캘리퍼가 고착된경우를 자주 봤었거든요... 브레이크 액은 적절한 시기가
되면 (메이커 권장 2~3만킬로미터) 교체하자 입니다.

그리고 클러치 액또한 브레이크액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역시나 클러치계통도 브레이크액을
교체할때 같이 교체해주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브레크액이 꺼멓게 변해있다만 비중계로
찍어보시면 십중팔구는 수분함유량이 기준치를 넘어선 상태입니다. 수분이 너무 많아서 녹
과 함께 색깔이 탈색된것이구요...
브레이크 패드 교체직전의 증상
1. 앞바퀴쪽에서 뀌뚜라미소리가 나더군요. 끼리리리리릭~~~
  고속도로에서 시속80~90km/h정도 가속할때 특히 고주파음의(가늘고 작은) 소리가 심하게 나고,
  그이외의 속도구간에서는 소리가 안나더라구요.

2. 그후 보름정도 더 지났더니 시속 30km/h대에서 저주파음의(굵고 큰) 소리가 추가로 나더라구요.
    (거의 모든 속도구간에서 소음이 발생하게 됨)
 
3. 소리가 날때, 브레이크를 잡아주면 소리가 사라지더군요.
   하지만 브레이크를 다시 떼는순간, 끼리리릭~ 소음이 다시 나더군요.

 
소음이 났던 이유
1. 이것저것 혼자 끙끙대면서 알아본결과, 브레이크패드가 다 닳아서 나는 소리더라구요.
 
2. 보통은 브레이크 밟을때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인디케이터(브레이크에 붙어있는 강철)가
   브레이크 디스크를 긁어서 경고음을 내는겁니다.
 
3. 저의 경우에는 반대로, 브레이크를 밟으면 소리가 없어지고, 일반 주행중에 소리가 나서 한동안 헷갈린거지요...
   카센터에서 교체받으면서 이야기해봤더니,
   브레이크를 밟을때 인티케이터가 소리를 내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주행중에 소리를 낼수도 있다고 하더라구요...

저렴하게 처리한 브레이크패드 교체비용
1. 인터넷에서 상신 '하드론 프리미엄' 구매 : 브레이크 25,000원, 택배비 3,000원
2. 카센터에서 교체 공임 : 10,000원
   (원래는 바퀴당 10,000원 해서, 앞바퀴 두개면 20,000원 받는데, 카센터에서 많이 깎아줌)
 
==> 교체 총 비용 = 38,000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