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쾌한 글에 올려야 할지... 자동차에 올려야 할지... 난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차가 어떻게 된 모양인지, 언덕길만 오르고 나면 기름이 쭉쭉 없어진다.

아무리 차가 무거워도 그렇지 너무한것 아닌가?


자동차 연비개선에 최선을 기울이던 초보시절...

처음 차를 산후 몇개월동안 일부러 언덕을 피해서 운전을 했다. 언덕을 피하려니 가까운길도 우회해서 많이 돌아가야 하고...

다른 분들은 이런경험이 없는가?


그런데 언덕길에서 차량연비때문이라기 보다는, 연료통이 기울어져서, 일시적(약 10분이내)으로 연료게이지가 그렇게 표시되는 것일 뿐이다.

이 사실을 깨닫게 된데에는.... 언덕길을 오르고나서 쭉 줄어들었던 연료게이지가, 평지를 계속 달리자 원위치로 돌아오는것을 발견하고나서부터 였다.


그러고보니, 운전중일때는 기름이 별로 안닳다가, 차를 정차하고 그다음날 연료게이지를 보면 많이 내려가 있는 경험이 있지는 않은가? 이것도 마찬가지 이유이다. 차량이 운행중일때는 기름통에 기름이 출렁거리기 때문에 실제로는 연료가 많이 소모되었어도, 게이지는 이를 정확하게 알아채지 못했기 때문이고, 장시간 차량을 세워두면, 게이지가 실제위치로 되돌아 오는 것이다...


정말 기름값이 높은 시대에... 연비때문에 울고 웃는 일이 생기곤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등학교때 들은 이야기다.


코너길에 아가씨가 횡단보도 신호를 기다리면서 서있었고, 타이어를 광폭으로 교체튜닝한 RV차량이 코너를 도는데, 차체밖으로 돌출된 바퀴에 아가씨가 딸려들어가서 사고가 났다는 것이다.

사실 광폭타이어를 보면 무지 부럽다.

하지만 고등학교때 들었던 그 이야기때문에, 튜닝에 대해 안전을 먼저 생각할 수 밖에 없다.

자동차 동호회에 가면, 바퀴크기를 키우거나, 폭을 넓히는 사람들이있다. 무지 돈드는 작업이지만, 인기있기도 하다.


바퀴크기를 키우면, 최대속도가 증가하고, 폭을 넓히면 가감숙이 빠르고 미끄럼에서 좀더 자유롭게 되겠지만...
바퀴크기가 순정에 비해서 크면, 울퉁불퉁한 길에서 출렁거릴때 바퀴랑 차체가 부딪혀서 사고가 날수 있다. 그리고 타이어폭이 넓으면 앞서말한 예와같이 보행자를 위험하게 할수 있다. 그리고 폭이 넓으면 바닥과의 마찰이 커지기 때문에 연비가 나빠진다.

자동차 제조회사에서 내놓은 순정규격은 수천번 테스트한 결과 해당차종에대한 최적의 옵션을 뜻하는 것일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람들이 자동차를 사랑하다보면, 점점 투자하는 돈이 많아진다.

"티코에 이런저런 튜닝을 했더니, 튜닝비용이 차값보다 훨 더 들었더라..."라는 말은 우스겟소리가 아니다.

튜닝보다 제일 중요한건 사람의 안전이라는걸 일단 명심하자.


오늘 하고 싶었던 말은, 점화플러그이다.

자동차 동호회에 가면 점화플러그를 공동구매하는것을 많이 보곤한다.

처음 점화플러그를 교체할려고 하면 순정외에 백금, 이리듐, 그리고 열가5, 열가6 ... 이란 이야기를 듣고 주눅이 든다...

열가가 높을수록 고속운행, 급가감속에 유리한 점화플러그이다. 하지만 차량데이터시트의 열가보다 너무 높은 열가를 쓰면 엔진에 무리가 가게됨을 명심하자.

그리고 백금>이리듐>순정 순서로 연료효율이 좋다. 하지만 그 효율이 큰 차이가 있는것은 아니다. 혹자는 백금/이리듐 플러그로 교체했는데, 그다지 연비가 좋아진것을 못느낀다고 한다... 아니 혹자가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이야기 한다.


만약 일반인이 아니라 스피드를 즐기는 사람이라면, 남이 내차를 추월하는걸 못참는 사람이라면. 백금플러그에 열가6,7,8 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중고차 사이트는
엔카, 보배드림 등의 사이트가 유명하다.


중고차 딜러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중고차값에 덧붙여서 팔기때문에,
싸게사고싶다면,
가급적 중고차는 딜러를 통하지 말고, 개인간의 직거래를 하는게 좋다.

하지만 개인간 직거래는 쉽지않고, 사기당할 확률도 높기때문에, 자동차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이라면 직거래보다는 딜러를 통해 사는것도 괜찮을 듯 싶다.
(중고차를 잘못하면 수리비가 엄청 나오니까...)

중고차 거래시는 항상 무조건 카센터등을 통해 사고여부 및 차의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주유소명   전화번호
호성 대덕구 덕암동 042-932-5234
문평 대덕구 문평동 042-932-8578
동남 대덕구 상서동 042-931-0050
대전4공단 대덕구 신일동 042-935-6051
럭키 대덕구 오정동 042-632-9800
SK대덕(삼양) 대덕구 오정동 042-672-6779
회덕 대덕구 와동  042-628-1496
OK SK(구,영광) 대덕구 읍내동 042-633-8757
양전 동구 가양동 042-672-8504
동원(대전) 동구 삼정동 042-282-5155
관문 동구 성남동 042-633-3026
동대전 동구 용전동 042-633-2160
SK푸른 동구 홍도동 042-637-8838
SK대전청사(코끼리) 서구 둔산동 042-486-6222
SK둔산(둔산삼양) 서구 둔산동 042-484-5531
만년교 서구 월평동 042-531-0987
한양 서구 탄방동 042-486-2682
온천 유성구 구암동 042-822-1829
노은 유성구 노은동 042-477-5182
방동제일 유성구 방동 042-825-0020
첨단(엑스포) 유성구 신성동 042-861-6708
서원 유성구 원촌동 042-862-5189
SK(대전선경) 유성구 전민동 042-862-2631
SK대전(대전흥국) 중구 대흥동 042-252-7841
SK기룡 중구 문화동 042-252-9405
SK석교푸른 중구 석교동 042-273-7755
SK중촌(구,태영) 중구 선화동 042-253-8820
주유소명   전화번호
경산중앙 경산시 계양동 053-813-3322
청명 경산시 대평동 053-813-6413
SK경산 경산시 진량읍 053-853-6051
효대 경산시 하양읍 053-856-6100
보일 경산시 하양읍 053-851-4966
하이웨이 경주시 건천읍 011-524-5151
황성 경주시 황성동 054-772-1604
SK모범 구미시 송정동 054-456-0134
하이웨이 구미시 오태동 054-464-2400
21세기 구미시 원평동 054-451-2151
형곡 구미시 형곡동 054-456-6565
엔크린 김천시 덕곡동 054-437-2333
김천IC 김천시 부곡동 054-437-6006
SK대신 김천시 신음동 054-436-8700
김천동부 김천시 지좌동 054-436-6553
매봉 문경시 모전동 054-553-3400
영강 문경시 산양면 054-552-2030
법흥 안동시 법흥동 054-853-8881
송현(안동) 안동시 송현동 054-853-0440
용상 안동시 용상동 054-821-3940
안동(안동태양) 안동시 정하동 054-858-6451
한타안동 안동시 태화동 054-855-5182
역전 영주시 휴천동 054-631-2875
영천IC 영천시 본촌동 053-335-3700
그린 영천시 오수동 054-333-1400
가산IC 칠곡군 가산면 054-976-6051
포항 포항시 남구 대잠동 054-274-1993
SK대잠 포항시 남구 대잠동 011-534-8154
득량 포항시 득량동 011-523-6943
포항제일 포항시 북구 대신동 011-808-9806
해돋이 포항시 북구 두호동 011-544-9998
주유소명   전화번호
강남 강남구 논현동 02-549-9634
뉴서울(강남) 강남구 논현동 011-9940-1206
동우 강남구 논현동 011-9060-9331
SK대치(대치흥국) 강남구 대치동 02-561-9235
한국(강남) 강남구 도곡동 011-742-5189
금성 강남구 삼성동 011-9529-4586
삼성 강남구 삼성동 02-538-0809
오천 강남구 삼성동 02-545-2822
세곡 강남구 세곡동 02-445-6870
오토조이 강남구 청담동 011-221-0920
고속 강동구 길동 011-9761-0941
SK길동(구,금강) 강동구 길동 02-488-3493
강동 강동구 길동 011-775-2821
명일 강동구 명일동 010-3124-2631
원광 강동구 성내동 011-210-0190
암사 강동구 암사동 02-3427-2044
매일 강북구 미아동 02-982-8855
새한 강북구 미아동 02-985-4381
성북 강북구 수유동 02-902-3607
센추리 강서구 가양동 02-3663-2212
SK가양 강서구 가양동 02-3664-6051
성하 강서구 화곡동 02-605-8508
해바라기(강서) 강서구 화곡동 02-695-4544
신봉천 관악구 봉천동 02-885-5913
엔크린(관악) 관악구 봉천동 02-877-2833
유정 관악구 봉천동 02-882-0328
중곡 광진구 군자동 02-466-0367
대명 광진구 모진동 02-2201-4392
장호 광진구 자양동 02-454-3126
고척 구로구 고척동 02-681-2122
신오류 구로구 오류동 02-687-4186
태경 구로구 오류동 02-618-5410
독산 금천구 독산동 02-8037-3050
순환도로(남부) 금천구 독산동 02-859-5426
SK이가 금천구 독산동 02-861-2241
박미 금천구 시흥동 02-802-6749
SK금천 금천구 시흥동 02-892-3051
동일로 노원구 상계동 02-937-4334
중계 노원구 상계동 02-938-3178
하계 노원구 하계동 02-975-1386
풍념 도봉구 창동  02-904-5544
공유 동대문구 장안동 02-242-6156
SK스피드(구.안새) 동대문구 장안동 02-2216-5151
매일 동작구 상도동 02-817-4085
21세기(동립) 동작구 신대방동 02-832-7926
흑석동 동작구 흑석동 02-815-0724
양지(제일) 마포구 도화동 02-706-8955
청기와 마포구 동교동 02-336-4261
성산대교(해월) 마포구 성산동 02-323-0078
합정 마포구 합정동 02-336-3276
평화 서대문구 북가좌동 02-306-3442
반포 서초구 방배동 02-594-9843
서초 서초구 방배동 02-586-9733
사평로 서초구 서초동 02-3481-2513
전당앞 서초구 서초동 02-597-2381
기름나라 서초구 우면동 02-573-5189
경진 성동구 마장동 02-295-3331
효진 성동구 성수2가 011-662-3597
군자동 성동구 용답동 02-2244-4945
삼우 성동구 용답동 02-245-8974
장안 성동구 용답동 02-2242-5551
미도 성북구 돈암동 09-928-0666
광덕 성북구 보문5가 02-923-5545
드림랜드 성북구 장위동 02-916-9906
SK한천(우리) 성북구 장위동 011-9032-7136
장삼 성북구 장위동 02-909-0314
SK북악정릉 성북구 정능동 02-911-5189
SK아리랑(스카이웨이) 성북구 정릉동 011-418-9831
서원 송파구 가락동 02-402-5928
송파 송파구 거여동 02-409-9836
방이(태양) 송파구 방이동 02-424-3051
SK석촌(석촌흥국) 송파구 석촌동 02-425-3651
올림픽 송파구 오금동 02-448-9804
OK! SK(가고파) 양천구 목동  02-653-5189
남부 양천구 신월동 02-690-5001
신평 양천구 신정동 02-654-5145
SK KOREA(구무궁화) 양천구 신정동 02-2646-6121
SK경인 양천구 신정동 02-693-4994
SK윈윈(구 신대청) 영등포구 대림동 02-847-5151
양평 영등포구 양평3가 02-633-1013
SK여의도2 영등포구 여의도동 02-786-3466
남부(영등포) 영등포구 영등포 02-678-0503
당산 영등포구 영등포 02-677-0609
갈월동 용산구 갈월동 02-754-5217
SK강변(용산) 용산구 청암동 011-735-2924
청파 용산구 청파동 02-701-9130
남산 용산구 한남동 02-794-7665
한남동 용산구 한남동 02-794-7665
SK한남(한남흥국) 용산구 한남동 02-795-0802
통일 은평구 불광동 02-355-0349
은평 은평구 응암동 02-355-3509
재동 종로구 경운동 02-732-3968
수도 중구 오장동 02-2267-9925
통일 중구 장충2가 02-285-5151
대원 중랑구 면목5동 02-438-6111
중랑교 중랑구 중화동 02-493-0115

사이월드에서 퍼옴.

※주의: 심각하게 읽지 말것!!!


1. 군대
이스라엘여자 : 여자도 남자처럼 3년 군복무를 하고있다.
독일여자 : 군대에 직접 가진 않지만 여자가 국방세를 내서 군인들 월급을 준다.
한국여자 : 아무것도 안한다. 남자만 가야된다고 생각한다.


2. 출산
이스라엘여자 : 군대와는 별개의 문제라 생각한다.
독일여자 : 신성하지만 군대에 비해 고통은 적다고 생각한다
한국여자 : 군대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출산률은 세계 최저다


3. 여성부
이스라엘여자 : 필요 없다고 생각한다.(실제로 없다)
독일여자 : 필요 없다고 생각한다.(실제로 없다)
한국여자 : 여자를 위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전세계에 한국만 있다)


4. 남자
이스라엘여자 : 든든한 전우
독일여자 : 나라를 지켜주므로 매우 고맙게 여긴다
한국여자 : 성희롱만하는 늑대로 여긴다.


5. 군대를 가라고 한다면
이스라엘여자 : 당연히 가야되는거 아닌가?
독일여자 : 진정한 양성평등을 위해 갈 의향이 있다.
한국여자 : 온갖 시위를 다하며 반대한다. 여성부가 그 대표이다.


6. 남녀차별
이스라엘여자 : 매우 평등하다.(모두 군대에 가므로)
독일여자 : 매우 평등하다.(군대에 가진 않지만 국방세를 내므로)
한국여자 : 우리는 심각한 남녀차별을 받고 있다고 생각한다.(남자만 군대에 가는데도 불구하고)


7. 생/*/리휴가
이스라엘여자 : 그게 뭐여?
독일여자 : 쇼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여자 : 마땅히 있어야 되며 오히려 더 늘려야 된다고 생각한다.


8. 군가산점
이스라엘여자 : 이스라엘은 여자도 군대를 가므로 무효
독일여자 : 나라를 지켜주는 고마운 군인이므로 마땅히 주어야 된다고 생각한다.
한국여자 : 당연히 가야할 군대를 왜 가산점을 주느냐며 여성부가 앞장서서 1999년 폐지했다.


9. 병역비리
이스라엘여자 : 차라리 내가 갔으면 생각한다.
독일여자 : 차라리 내가 갔으면 생각한다.
한국여자 : 남자가 잘생겼으면 용서가 된다


10. 레이디 퍼스트
이스라엘여자 : 레이디퍼스트는 무슨, 남녀는 평등한데
독일여자 : 쇼를 한다. 레이디퍼스트는 무슨
한국여자 : 당연히 여자는 연약하므로 레이디 퍼스트가 옳다.


11. 전쟁이 나면
이스라엘여자 : 대다수가 전쟁 지원.(실제로 이집트와의 전쟁때 그랬다)
독일여자 : 50%가 넘게 전쟁에 지원한다
한국여자 : 여자는 연약하므로 도망가야된다고 생각하고 남자만 나라를 지키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점잖은 신사 한 사람이 보석상에서 70만원짜리 진주를 산 뒤 100만원짜리 수표로 지불하였는데 보석상 주인이 마침 잔돈이 없어서 옆에 제과점에서 수표를 바꾸어 거스름돈 30만원을 지불했다.

그런데 손님이 나가고 나서 제과점에서 바꾼 100만원짜리 수표가 위조 수표란 것이 밝혀졌다.

신사는 이미 진주와 거스름돈을 가지고 도망친 뒤였기 때문에 하는 수 없이 보석상 주인은 제과점에 100만원을 변상 하였다.그렇다면 보석상 주인은 총 얼마의 손해를 봤을까? (객관식)

(1) 30만원, (2) 70만원, (3) 100만원,
(4) 130만원, (5) 170만원, (6) 200만원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루에도 몇번씩 우리는...
수많은 도로위를 지나치고 있다...

비록 어떤 사람은 1량당 8억씩이나 하는 깡통속에서...
땅 밑으로 돌아다니기도 하지만...
그래도 많은 사람들은... 지상에서...
그것도 자가용 차량을 이용해서...
도로를 질주하고 있다...
그것도 무지하게 빠른 속도로...

"질주본능"이라 했던가?
달리고 싶다... 미치도록 달리고 싶다...

도대체 이것이 무슨 얼어죽을 본능이란 말인가...
그냥 바쁘니까 악셀을 밟고 있는 발에 있는 힘껏 힘을 가할 뿐이다... ㅡ_ㅡ;;
아니라고? 그저 달리고픈 욕망 뿐이라고?
아니믄 말고... ㅡ_ㅡ;;

여튼... 맨날맨날 다니는 도로 위에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수많은 카메라들이 설치되어 있다...

"어라? 저건 또 언제 생겼지?"
"흐미~ 도대체 지금까지 몇개나 설치되어 있는거야? 이 쪼마난 길에?"
"아주 돈독들이 올라꾸만... ㅡ_ㅡ;;"

대다수의 사람들은 도로위의 카메라를 보면...
위와 같은 생각들을 했을 것이다...
아니라꼬? 아따~ 아니믄 말라니까... ㅡ_-;;

역시... 대다수의 사람들은 카메라를 보면...
그것이 단순히 과속 단속용 카메라라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그들(카메라)은 그들 나름의 생존방식과...
그들 나름의 존재이유가 있는 법이다...
(으따... 그놈 참 내가 썼어도 명문이다... ^^* 퍽퍽~ 우씽... ㅠ.ㅠ)


그렇담 과연 어떤 종류들의 카메라가...
어떤 역할을 담당하며... 왜 그곳에 설치되어 있는가...
알아봐야 하겠다.... 두둥~

별로 궁금하지 않았다고? 잘났다... 그럼 글케 그냥 살아라... ㅠ.ㅠ



에헴... 서론이 좀 길었다... 미안...

도로위에 설치된 카메라는...
크게 두종류로 나눌 수 있다...

교통 단속용 카메라와... 교통정보 수집용 카메라...


요번 시간에는 교통 단속용 카메라 부터 알아보도록 하자...
(엥~ 수업시간 아니라꼬? ㅡ_ㅡ;; )



1. 속도위반 단속 카메라

수많은 운전자들의 질주본능(ㅡ_-;)을 잠재우는...
가장 무시무시한 내공을 소유한 카메라 되겠다...

카메라의 형식은 디지털 카메라 이며...
유효 화소수는 보통 60만~100만 정도이다...
렌즈는 C 마운트 F1.1 정도의 전동 포커싱 렌즈를 사용한다...
야간의 촬영을 위해... 적외선 스트로보가 기본 장착되어 있고...
적외선 모드로 촬영도 가능하다... ^^*


흔히 도로위의 모든 카메라를 이넘으로 착각하는 분들 계시는데...
절때로 그렇지는 않다고 보면 되겠다...

구별법이 궁금하다고?
이 강좌 끝날때 시원하게 해결해 주게따... 쫌만 지둘리시라...

일단 검지 방식은 심플하다 하게따...
도로위에 Pole 세우고... Arm 메달고... 팬/틸트 유닛 설치하고...
거기에 카메라 설치하고... 바닥에 Loop 설치하고... 끝~

무쟈게 간단하쥐?
그러나... 속내는 그닥 간단하지 못하다...
일단... 속도 검지 방식부터 이야기 하자...

속도검지를 담당하는 넘은... 전적으로 Loop 되게따...
1차 Loop Head 와 2차 Loop Head 가 노면에 설치되어 있고...
그곳을 통과하는 차량이 두 Head 를 밟고 지나가면...
그 시간차를 계산해서... 속도를 산정한다...

만약 단속 대상 속도에 해당하는 차량이면...
바로 카메라 작동하고... 사진 찍힌다...

근데... 이 Loop Head 의 검지 방식에 대해 궁금하다는 사람이 많다...
이게 압력식이냐 자기장식이냐 등등...
뭐... 혹자는 내기도 했다고 하더라...

정답은 둘다 맞다 이다... ㅎㅎ
구형의 경우는 압전식(piezo) 방식이 많았고...
신형의 경우는 자기장식이 많다...
물론... 어떤 Loop 를 설치하냐 하는 것은...
전적으로 그 단속 카메라를 설치하는 관청 마음이다...
(한마디로 돈 때문이란 것이쥐... ^^* )
별로 중요하지 않은걸로 내기해서... 칭구끼리 맘상하지 말자...

또 한가지... 단속 대상 속도라는 것에 대해서도 말이 많은데...
뭐... 10% 할증이다... 아니다... 10Km/H 이다... 등등...
역시나 이거 가지고 칭구끼리 내기 하고 그런단다...
괜히 그러지 말자... 그거땜시 칭구 잃고 싶은가?

결론만 이야기 하자면... 10Km/h 되겠다...
물론... 이것도 세팅 하기 나름이나...
보편적으로 제한속도를 10Km/h 초과 하는 차량만 촬영하게 세팅한다...


그렇다면... 이렇게 촬영한 단속차량에 대해서...
어떤 방식으로 고지서가 발부가 될까?

혹자는 일일이 사람 손으로 걸러내는 걸로 알고 있으나...
천만의 말씀 만만의 콩떡 되게따...

일단 촬영된 디지털 영상은... 거의 일정한 패턴이 존재한다...
즉, 차량의 번호판 부위는 정확하게 그 크기가 일정하다는 것이다...
물론 일반 차량에 한해서... ^^*

그럼 그 번호판의 가장자리 부위를 소프트웨어 적으로 인식하게 되고...
그 가장자리 안쪽의 데이터를 분석해서... 번호를 자동 추출해 낸다...
뭐... OCR 을 생각하면 이해가 쉬우리라 본다...
OCR 이 먼지 모른다꼬? ㅡ_-;; 공부좀 하자...


글타믄 말많고 탈많은 야간에는 우찌 될까?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다 된다... ㅡ_ㅡ;;
야간에는 적외선 모드로 촬영 되겠다...

근데... 간혹... 야간에 길을 가다 보면...
밤중에 카메라 근처에 가면 번쩍번쩍 하는걸 볼 수 있다...
그거 다 개뽕구라 되게따...
속도단속 카메라의 스트로보는 적외선 발광 방식이다...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그냥 위협사격 정도로 이해하자... ^^*
즉, 단속촬영용으로 스트로보를 터트리는게 아니다...
도로교통법상...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어떤 행위도 할 수 없다... *^^*


자... 속도단속의 마지막으로...
검지 대상 차량 및 차선에 대해서 한마디 더 해 본다...

일반적으로 자동검지가 안되는 차량은...
공사용 덤프트럭, 대형 크레인 등...
기본적으로 번호판의 위치 및 크기가 다른 차량들이다...
오토바이도 이에 해당한다...
루프가 작동하지 않는것이 아니라... 번호판이 엄따... ㅠ.ㅠ

그러나... 절때로 방심하지 말지어다...
대형차의 경우처럼 번호판 위치나 크기가 다른 차량의 경우...
미검지로 분류되어... 수동인식 들어간다... ^^*
맞다... 독하넘덜 되게따... ^^*

오토바이의 경우는 어떻냐구?
그것도 마찬가지다...
단속센터의 우녕자가 독사가튼 넘이면...
오토바이 지나가자 마자... 카메라 펜/틸트 유닛을...
180도 회전시키고... 뒷구녕을 촬영하믄 된다... ㅡ_ㅡ;;
어짜피 속도 데이터는 루프에서 이미 추출된 상태니까...

근데... 일케 독한 우녕자는 거의 엄따고 봐야 한다... *^^*

아... 물론... 불량이는 해봤다... 대전에서...
대전센터 시운전 할때... 진짜로 그게 될까 하고... 해봐따...
되더라... ㅡ_ㅡ"
그럼 고지서는? 당근 발부 되었단다... ㅎㅎ


차선에 대해 함 이야기 해 볼까?
편도 3차선의 경우... 카메라가 하나만 설치되어 있다고...
절대로 방심하지 말자...
바닥에 루프만 깔려 있으면... 어느 차로든 대상이 된다...
카메라 하우징 밑에는... 무시무시한 팬틸트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이 팬틸트 유닛의 수평방향 회전각이... 무려 364도 정도 된다... ㅡ_ㅡ;;
순간적으로 방향을 틀어서... 한방 찍고... 제자리로 돌아오는데...
0.1초도 안걸린다... 왠만하믄 속도 줄이자...

속도위반 단속 카메라에 대해서는... 이쯤 해 두기로 하고...
담으로 넘어가자... *^^*



2. 신호위반 단속 카메라

이거슨 또 무엇인가?
신호위반 단속 카메라? ㅡ_-;;

그렇다... 이런 넘도 있다...
만약... 카메라가 교차로에 떡하니 서 있다...
그럼 거의 90% 이상은 이넘이라고 보믄 대충 맞는다...


말 그대로... 신호 위반 차량을 찍는 카메라 되게따...

이넘 역시...
카메라의 형식은 디지털 카메라 이며...
유효 화소수는 보통 60만~100만 정도이다...
렌즈는 C 마운트 F1.1 정도의 전동 포커싱 렌즈를 사용한다...
야간의 촬영을 위해... 적외선 스트로보가 기본 장착되어 있고...
적외선 모드로 촬영도 가능하다... ^^*

어라? 속도단속 카메라와 스펙이 같다...
글타... 다만... 이넘에게는 아날로그 카메라가 하나 더 달려 있는데...
이것은 교차로 전경을 찍는 역할을 한다...

이기 무슨 말인고 하면...
속도단속처럼 단순히 차량의 전면부위만 촬영도 하지만...
교차로에서 그 차량의 궤적을 촬영하여... 꼼딱마!! 시킨다... ^^*

물론... 전면부 촬영을 위해... 루프도 설치되어 있다...
"글타면... 이거... 속도단속도 가능한거 아냐?"
일케 생각하는 분들 있을것이다... 똑똑한 학생 되게따...

맞다... 속도단속을 위한 알고리즘이 기본 내장 되어있다...
밤중에 왠만하믄 교차로에서 신호위반하면서... 과속하지 말자...
과태료 따블 되게따... *^^*

신호위반 단속 카메라는... 신호 데이터를...
신호제어기가 아닌... 신호등에서 가져온다...
이건 또 무신말인가?
왜 신호데이터를 신호제어기가 아닌 신호등에서 가져오나?
이유는 간단하다... 신호제어기는 멀쩡한데...
신호등이 맛탱이가 가면...
당근 교차로 난리가 난다... ㅡ_ㅡ;;

근데... 그 상황에서 신호위반이라고 퍽퍽 찍어버리믄...
욕만 디따 먹구... 담당자 문책 당하게쮜... ㅎㅎ

신호위반 단속 카메라는 여기까지... *^^*




3. 버스전용차로 단속 카메라

버스전용차로 단속 카메라 되게따...
말 그대로... 전용차로 위반 차량을 찍는 넘 되게따...

방식은 크게 두종류로 나뉜다...
첫번째... 자동식 디지털 검지방식...
이넘은 속도카메라와 크게 다르지 않다...
루프 깔고... 카메라 달고...
전용차로 적용 시간대에 루프 밟는넘 몽땅 찍어서...
번호 자동검지 해서... 띠리링~
차적조회를 통해... 승용차만 골라골라... 고지서 발부 한다... ㅡ_-;;

역쉬... 이넘도... 속도단속 기능... 기본내장 되게따... 무서븐 ㅡ_ㅡ;;


두번째... 수동식 아날로그 방식...
이넘은 아날로그 동영상 촬영을 한다...
담번에 설명할 CCTV 와 카메라는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

이는... 우녕자가 그 카메라에 올라온 영상들을 분석해서...
위반된 차량이 찍힌 영상을 정지화상 화 하여...
고지서 발부한다... ^^*

특이한 것은... 이넘에게는 스피커도 달려 있어서...
카메라 주변에 불법 주정차 차량이 있으면...
바로 센터에서 경고 멘트 날려줄 수 도 있다... *^^*
"0000번 *** 승용차!! 당장 이동하세요!!"

이 경고 무시하면... 고지서 날아온다... 조심하자... ㅡ_ㅡ;;
빼라고 하믄 당장 빼 줄 지어다!!
이건 거꾸로 읽어도 말이 되는 회문시이지요.
아무튼 이규보 시인은 천재가 아니었을런지;;

> 美 人 怨(回文) 李 奎 報
>
> 腸斷啼鶯春 꾀꼬리 우는 봄날 애간장 타는데
> 落花紅簇地 꽃은 떨어져 온 땅을 붉게 덮었구나
> 香衾曉枕孤 이불 속 새벽잠은 외롭기만 하여
> 玉검雙流淚 고운 뺨엔 두 줄기 눈물 흐르누나
> 郞信薄如雲 님의 약속 믿음 없기 뜬구름 같고
> 妾情撓似水 이내 마음 일렁이는 강물 같누나
> 長日度與誰 긴긴 밤을 그 누구와 함께 지내며
> 皺却愁眉翠 수심에 찡그린 눈썹을 펼 수 있을까(順讀)
>
> 美 人 怨(回文)
> 翠眉愁却皺 푸른 눈썹은 수심 겨워 찌푸려 있는데
> 誰與度日長 뉘와 함께 긴긴 밤을 지내어 볼까
> 水似撓情妾 강물은 내 마음인 양 출렁거리고
> 雲如薄信郎 구름은 신의 없는 님의 마음 같아라
> 淚流雙검玉 두 뺨에 옥 같은 눈물 흐르고
> 孤枕曉衾香 외론 베개 새벽 이불만 향기롭구나
> 地簇紅花落 땅 가득히 붉은 꽃이 떨어지고
> 春鶯啼斷腸 봄 꾀꼬리 우는 소리에 애간장 타누나(逆讀)
http://www.iqtest.dk/

사이트 확장자가 dk 인거보니... 독일에서 만든것같습니다.
덴마크인가? >..<
영어/독어/덴마크어 이런거 몰라도 아이큐테스트 가능해요.
언어는 안나오고, 그림만 보고 하는거라서... ^^

근데 하고나면 정말로 아이큐지수가 비슷하게 나옵니다...

문제풀고 되돌아가기도 가능한데...
맨 마지막 문제를 제출하고나면 되돌아가기가 안되요.

그럼 좋은 결과를 바래요 ㅎㅎ


<<수정>>
위 사이트에서 제대로 안보이시는 분을 위해 파일을 첨부합니다.
 

'사는 이야기 > 아이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큐 테스트 - 한글판  (0) 2007.11.23
아이큐테스트2  (0) 2007.11.23
퀴즈~! 보석상이 사기당한 금액은?  (0) 2007.11.12
 
Rho Ophiuchi 성운의 아름다움
 
 
안타레스의 동쪽

 
말머리 암흑성운
 
 

수레 바퀴의 운명


 
플레아데스 성단

 
장미 성운
 
 
죽은 별

 
우주 바다의 거품
 
 
마젤란 대성운
 

 

에스키모 성운


 

디스커버리호, 우주로!

 

 
별들의 바다

 
우주에서 본 지구의 화산활동
 

 

은하수


 
파란 석호

 

나이아가라 폭포를 위성에서본 사진입니다.

(다른곳에서 퍼온 사진입니다)
위성사진으로 보는 세계의 유명지가 정말 신기하네요
이토록 선명하다니 정말 놀라울 따름입니다.




이집트의 피라미드




몰디브의 섬들




그랜드 케년




나일강




두바이의 팜 아일랜드




호주의 에어즈락




뉴욕의 그라운드제로




세인트헨렌산






스리랑카를 강타하는 쓰나미의 모습

점화 플러그, 엔진오일 등등 다양한 부분에 관련되어 자동차의 성능 향상및 연비 향상이 있다고 광고하는것이 무척이나 많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광고는 '그냥 그러한 것도 있구나'로 잊어 버리시옵고 [순정부품]으로 교환하시길 권해드립니다. 백금으로 만든 점화 플러그, 3발로 되어 있는 점화 플러그 등등 광고는 다양하지만 순정만한것이 없습니다.

연비 향상도 그 속에 숨어있는 맹점에 속지 마세요. 즉, 여러분이 연비를 향상하기 위해 들이 공(돈 혹은 노력)에 비해 그 절약한 연비를 순식간에 날려 버릴만한 요소가 곳곳에 숨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자동차를 급제동하거나 급출발 하거나 혹은 순식간에 가속해야 될일이 운전하다가 종종 발생합니다. 그럴때 그동안 들인 공이 순식간에 날라 갑니다. 즉, 절약하는 노력에 비해 날릴때의 순간은 너무도 자주, 순식간에 다가옵니다.

가장 중요한것은 때가 되었을때 [순정부품 = 가장 싸고 가장 정확한 공인된 제품]으로 교환해주는 것입니다. 자동차의 부품은 생각보다 가격이 아주 싼편에 속합니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펜더(예전 기준입니다)의 가격이 약 2만원 내외지만 장착및 도색비용을 합치면 15만원-20만원 가량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단지 부품만 놓고 본다면 아주 가격이 쌉니다. 그래서 간단한 부분은 스스로 하는것이 절약의 지름길이지요.

다시 점화플러그로 돌아 가서 점화 플러그는 정비소에 가셔서 한번 교환하는 비용이면 점화 플러그 + 점화 플러그 교환용 공구 구입비용이 나오게 됩니다. 점화 플러그는 단지 점화플러그 교환용 렌치만 하나(2-3천원)있으면 돼지만 구입하시는 김에 토크렌치(렌치는 대를 물려쓰는 공구이기 때문에 좋은것을 사세요. 렌치류는 일본제가 아닌 국산 혹은 미국제가 최고라고 생각됩니다.). 이 렌치를 세트로 구입하시면 점화플러그 교환용 렌치+연장렌치를 제공받게 됩니다. 이것을 이용해 교환할수가 있는데

1. 교환하기 전에 전선을 제거(손으로 뚝! 뚝! 뽑으면 뽑힙니다)

2. 먼지 제거, 점화 플러그 장착 위치가 오목하게 들어가기 때문에 먼지나 때가 쌓여 있습니다. 반드시 먼지를 제거 하시는데 압축 공기가 개인적으로 준비가 돼어 있지 않으므로 용산같은 곳에서 구입하실수 있는 1-2천 짜리 압축공기 캔을 구입해서 먼지를 제거해주세요.

3. 렌치를 이용해서 점화 플러그를 뽑으시고 새것으로 교환하세요.

4. 조립은 분해의 역순!(자동차 정비의 성경입니다.)

5. 이것이 끝입니다.

별것 없지요.? 부품은 길을 가다 보면 기아/현대/대우 등등 부품 가게를 어렵지 않게 찾으실수 있습니다. 이곳에 가셔서 차종을 말해주면 부품을 주는데 가격은 정말 쌉니다.

아무리 초보자라고 해도 30분 정도면 교환이 가능합니다. 정말 어렵지 않은 작업이므로 스스로 한번 시도해보세요. 자신의 차에 애착도 생기고 돈도 절약하는 지름길입니다.

점화 플러그는 때 되면 꼭 갈아줘야만할 부품의 한가지입니다. 그리고 꼭 한가지 주의 하실점은 반드시 해줘야만 할것은 아니지만.. 점화 플러그를 교환 하신다음에 자동차의 엔진후드 안쪽에 보시면 퓨즈 박스가 있습니다.(검정색 플라스틱 박스) 이것을 여시면 ECU 혹은 MPU라는 퓨즈가 하나 달려 있는데 이것을 빼신 다음에 약 10초 이후에 다시 꼽아 주세요. 자동차의 컴퓨터를 초기화 시켜 주는것입니다. 자동차의 머리가 오래된 점화 플러그의 상태에 따라 설정이 되어 있는데 새로운 점화 플러그의 상태에 맞게 초기화 시켜 주는것입니다.

잘 찾지 못하신다면 그냥 두셔도 괜찮습니다. 꼭 해주어야만 할것은 아니지만 해주면 좋은 정도입니다. 이 ECU의 초기화는 트로틀 바디 청소/점화플러그 교환 등등 엔진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작업을 하신 다음에 꼭 한번씩 해주면 좋은 작업중의 하나입니다.

제가 말씀 드린것이 그렇게 어렵지는 않은 작업일것입니다. 이번 주말에 한번 시도해보세요. 꼭!! 즐거운 하루 돼세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휘발유와 경유 등 자동차 연료유 가격이 연일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면서 차 몰기가 겁이난다는 운전자들이 늘고 있다.

때문에 기름값 절약에 대한 묘안도 백출하고 있다. 하지만 기름을
아끼려면 자동차가 언제 기름을 가장 많이 먹는지를 알아야 한다.

자동차 전문가에 따르면 자동차가 기름을 가장 많이 먹는 때는
발진때이다. 차량발진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자동차 연비는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

발진시 브레이크를 놓는 것과 동시에 가속페달을 강하게 밟으면
순간연비는 리터당 최고 2km가 차이가 난다.

반면, 차량이 천천히 움직이는대로 맡겨 가속페달을 천천히 밟으면
연비를 리터당 5-8km까지 올릴 수가 있다.

즉, 엔진회전수가 낮은 상태에서 천천히 가속을 하기 때문에 그만큼
연료가 적게 드는 것이다. 하지만 너무 천천히 출발하게 되면 뒷차량으로부터
눈총을 받게 되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 한다.

또, 차량의 시내를 달릴 때 발진시의 사용 연료량은 전체 소비량의
38%로 일반 도로 주행시의 35%보다 다소 높게 나타난다.

이는 자주 브레이크를 밟고 가속을 하기 때문으로 시내를 주행할
때는 바로 앞 차 뿐만 아니라 전방 2-3대의 차량 움직임까지 파악해 운전하면
가속페달을 그만큼 자제할 수 있게돼 연료사용량이 줄어든다.

예컨대 시내에서는 1300cc급의 경우, 시속 40km로 달릴 때가 연비가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밖에 타이어 공기압을 적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것도 중요하다.
공기압이 20%가 부족하면 연비가 3-5%가 나빠진다.

또, 평소 사용치 않는 화물은 차에서 내리는 것이 연비향상에 도움이
되고 에어컨은 바깥공기를 빨아들이는 것 보다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이
연료효율성을 좋게 한다.

특히,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해 지붕에 단 스키 캐리어등은 내려 두는
것이 좋다. 이와함께 집 근처에 기름값이 싼 주유소를 파악해 두는 것도 연료비
절약에 도움이 된다.
유가가 치솟으면서 에너지 절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자동차 유비지 부담이 커진 자가 운전자들에게는 어떻게 하면 연료를 조금
이라도 아낄 수 있을까가 초미의 관심사다.

자동차 연료 소모량은 차량관리와 운전 방법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이중 하나 만 고르라면 역시 운전 방법이 중요하다.

일반인들에게 알려진 연료 절약 운전요령 중 잘못된 사례들을 골라 그 `허(虛) 와
실(實)'을 살펴 본다.

◆경제속도 = 자동차에 표시된 공인 연비는 시속 60㎞의 정속 주행 상태에서 측
정된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조건의 도로를 주행하면서 메이커가 표시한 연비를 기 대할 수는
없다.

그럼 `경제속도'란 어떤 의미일까? 일반적으로 경제속도는 차량별 최고 단수
기어에서 rpm(분당 엔진회전수) 2천-2 천500으로 달리는 것이라고 보면 가장
현실에 가깝다.

rpm이 3천을 넘어가면 연료 소모량이 급격히 증가하지만 1천700 이하로 계속 주
행해도 연료가 많이 들어간다.

또 배기량에 따라서도 연료를 적게 먹는 속도가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경차부터 2천cc 미만까지는 시속 60km 정도에서 기름을 가장 적게
먹는다.

하지만 2천cc 이상 중형차는 70km, 3천cc 이상 대형차는 80km 정도에서 연비가
가장 좋아진다.

아울러 자동차 디자인에 따라 달라지는 공기저항계수와 엔진특성, 도로 여건 등
도 연료 소모에 영향을 미친다.

◆내리막길 기어 중립 주행 = 내리막길에서 기어를 중립에 두면 공회전 수준의
연료가 분사된다.

하지만 전자제어식(ECU) 엔진 차량의 경우 기어를 넣은 채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고 내리막길을 달리면 rpm은 올라갈지 몰라도 연료는 거의 들어가지 않는다.

단, 구형 캬브레이터 방식 엔진에서는 이 방법이 통하지 않는다.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자동차 엔진의 두뇌격인 ECU가 연료분사량을 조절하
기 때문이다.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으면 스로틀밸브(엔진으로 공기가 들어가는 구멍)가 열
리고 이 때 ECU가 공기 유입량에 맞춰 연료 분사량을 늘린다.

반대로 가속페달을 놓아 공기 흡입량이 제로가 되면 ECU도 연료 분사를 차단한
다.

시속 10km 이상만 유지하면 연료가 투입되지 않더라도 바퀴가 관성의 힘을 받아
엔진을 돌려주기 때문에 시동은 꺼지지 않는다.

다만 rpm이 일정 수준까지 떨어지면 ECU는 시동이 꺼지는 것을 막기 위해 다시
공회전 수준의 연료를 분사한다.

이런 원리를 가장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경우가 고속도로의 내리막길을 달릴 때
다.

고속도로와 같이 잘 포장된 도로의 내리막길을 가속페달을 뗀 상태에서 내려가 면
연료를 거의 쓰지 않고 달릴 수 있다.

물론 속도는 어느 정도 떨어진다.

내리막 도로에서 가속 페달을 심하게 밟는 것은 연료 절약 측면에서 가장 나쁘
다.

◆고속도로 경제속도 = 대체로 고속도로 주행시에는 시속 90㎞ 정도에서 연비가
가장 좋다고 한다.

일반화시키기는 어렵지만 시속 120km를 넘어서면서 연비가 급격히 낮아지기 시
작해 시속 160km에서는 시속 90km의 절반, 시속 180km에서는 3분의 1까지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천히 가속하기 = 엔진별로 연료효율이 높은 구간이 설계돼 있어 rpm이 너무
높거나 낮으면 효율이 떨어진다.

들어가는 연료에 비해 출력이 제대로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료효율이 좋지 않은 구간에서 무조건 천천히 가속하는 것보다는 다른
차량의 흐름에 맞춰 적당히 가속한 뒤 2천-2천500rpm으로 정속 운전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가속페달을 밟았다 놓았다 반복하는 것도 연료 효율을 떨어뜨린다.

가속페달을 떼고 감속할 때 아껴지는 연료보다 다시 이전 속도를 회복하기 위해
가속할 때 들어 가는 연료가 더 많기 때문이다.
오토미션 차량의 경우 변속기 기어가 약하다고 한다.

특히 처음 운전을 시작하는 사람들은, 연비생각에
잠시 신호대기중일때도 기어를 N으로 변속한후 대기하다가,
D로 다시 변속하는 과정을 반복하곤 한다.
단지 연비생각때문에...

하지만 오토차량 소유자라면, 정말 다시한번 생각해야 한다.
아끼는 연비보다, 추후 변속기 교체/수리 가격이 더 나올수 있기때문이다.

변속을 자주하게 되면 그 변속충격때문에 변속기 교체시점이 더 빨리 오게 된다.
조심하자. 변속기 교체비용은 약 100만원수준이라고 한다... ^^

기어변속후 곧바로 가속페달을 밟는것은 변속기에 무리가 갈수 있습니다.


아래는 연합뉴스기사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공회전시 시간당 0.80-0.85ℓ의 소모량은 기어를 중립(N)이나 주차(P)에 놓았을 때 해당하는 것으로, 만일 운전자가 주행(D) 상태로 기어를 유지하고 있다면 연료 소모량은 늘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정확한 통계수치는 없지만, 공회전시 기어를 'N' 또는 'P'가 아닌 'D'에 놓을 경우 부하가 커져 'N'이나 'P'일 경우 보다 연료 소모량이 1.5배 가량 증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물론 정체가 지속될 경우 시동을 꺼놓는 게 연료 소모를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이나, 시동을 끄고 키는 게 번거롭다면 기어를 'N'이나 'P' 위치에 놓아주는 것도 연료 소모를 줄이는 한 방법이라는 것이다.

다만 이 같은 기어 조작시 유의해야 할 점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기어를 'N'에서 'D'로 바꾼 뒤 바로 가속페달을 밟아서는 안된다는 것. 기어를 'D'로 전환한 뒤 통상 1-2초간 동력이 전달되는 시차가 발생하는 만큼 2초 가량 뒤에 가속페달을 밟아야 한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기어를 'D'로 전환한 뒤 곧바로 가속 페달을 밟을 경우 변속기에 상당한 무리가 가게 된다"며 "잘못할 경우 변속기 손상으로 이어져 연료 절약을 위한 조작이 변속기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말도많고 탈도많은 우리들의 애마 XD...

자자~! 여태껏 공식적으로 발표된 리콜 리스트를 아는대로 함 적어봅니다.

참고들 하시고.. 혹 부족한 사항이 있다면 굴비달아주시길~!


1.B필러 도어테이핑 - 앞,뒤 유리창 사이 검정색기둥
이거이거 아주 골칫거리입니다. 테이프가 공기에 의해 밀려나는 현상..
평생 무상 A/S 됩니다. 한달에 한번씩 가서 서비스받으셔도 됨.. ^^

2.RPM - 엔진의 분당 회전수를 말하죠..
요 RPM이 공회전시에 춤을 추네요~ --;
요것도 리콜~!! 해당되는 차주분께서는 가까운 사업소로 가시길 권장..

3.연료통 - 울XD의 밥통입니다. --;
이게 일부차종에서 샙니다. 아이고~~
2002년 2월 15일 ~ 2002년 2월 18일까지 생산된 차종 해당

기름통에 각인된 것을 보시고 확인이 가능~!
ex.) 0215가 2월 15일이구요..숫자옆 A or B or C는 각각 오전,오후,야간을 뜻합니다.

4.side air bag - 00년 일부차종 해당
간혹 문을 쎄게 닫으면 사이드에어백이 터졌습니다. --;
놀랍습니다. 역시 현대.. ㅋㅋ

5.ECU 업그레이드
이건 00년식부터 지금 생산되는 뉴XD(2004.5~2004.9)도 해당됩니다.
그냥 사업소로 가셔서 하이테크반을 찾아가심 됩니다.
한 15분~30분이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됩니다.

6. 브레이크 호스 - 2000.4.1~ 2002.12.16 까지 생산된 XD 해당
차대번호 KMHDN45D3YU000001 ~ KMHDN45DO3U598833
위 번호에 본인이 해당되는지 확인하실려면 본넷트를 열어보시면
검정색 쇠판대기에 각인된 숫자가 있습니다.

브레이크 호스튜브와 하체 서브프레임의 간섭으로 인해 브레이크 오일의 누수원인이
있을수 있다는 것으로 리콜대상에 포함되었습니다.

7. 로어암 - 흔히들 로아다이~~ 로우왐, 로어왐.로아암 부르기 나름입니다.--;
요거 애매합니다. 요거 사업소에서 한번에 안해줄라고 합니다.
요거 수리받으실려면 막강한 클럽XD의 게시판글을 프린트하셔서 가시길~!

하지만..AS받으셔도 나중엔 찌그덕 소리 재발합디다.
국산차의 한계라 봅니다.
부품가는 좌우 로아다이~~ 10만원 정도 합니다.
한 1시간이면 교환가능

8.TPS 센서 - 쓰로틀바디 포지션 쎈서의 약어죠~~오..
요거이 불량일경우 RPM이 올라갔다가 안내려옵니다.
좋은가봅니다. 내려올 생각을 안합니다. 걍 냅두셔도 됩니다만
그래도 TPS 버르장머리를 고쳐야죠..ㅎㅎ

부품가 13000원 정도 합니다. 걍 이상없어도 그린서비스에서는 갈아줄려고 합니다.
왜? 현대본사에서 나중에 기술료 받거든요.. 어쨌든 오너입장이라면
AS 받으시길~!

9.에어컨 충격 - 간혹 풀오토 에어컨 작동시 이상한 충격 못들으셨나요?
2003.5.14~2003.6.30 까지 생산된 XD들은 한번더 사업소로 가시길~ --;

10.에어컨 은분가루 발생
요것두 일부차종에 해당됩니다만..
에어컨이나 히터를 작동시 은분가루가 나오는 차량이 있습니다.
뭐가 원인인지는 전공이 아니라 몰겠고.. 함 가보시길...

11.에어컨 AQS 불량 - 추운 겨울 처음 히터작동시 위잉~윙~위위위~~~윙
이상한 귀뚜라미같은 소리가 나는분...?
요거이 AQS 불량입니다. 해당차종은 사업소로~!!!!

 

제1조 : 사고를 당하면 치료를 받는다.
가벼운 사고라도 병원에서 치료를 받도록 한다.
가해자의 인적사항, 연락처, 보험회사를 알아둔다.
사고로 인한 임상적인 현상은 의학적으로 24시간 이후에 통상 발생한다.
사고를 가볍게 생각하여 그냥 가라 해놓고, 나중에 돈을 쓰거나 후회하지 말자.
사고전과 비교하여 조금이라도 이상한 부위가 있으면 아프다고 호소한다.
의사의 진찰을 받아 몸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은 권리이자 의무다.
너무 늦으면 몸에 이상이 있더라도 다툼이 생겨 골치가 아프고 짜증나고 귀찮아진다.
또한 보험회사는 사고로 인한것이 아니라고 우기며 보상을 해줄 수 없다고 할 것이다.
과실이 없는 경우 부상에 따른 최저 보상금은 9만5천원 입니다.

제2조: 입원치료가 더 좋다

치료방법은 통원치료보다는 입원치료가 더 좋다.
통원치료는 보상금도 적고 보험사에서 신경을 쓰지 않는다.
다만 보험사의 무관심에서 편안하게 치료받기를 원하면 통원치료가 더 낫다.
입원치료는 보상금도 많고 보험사에서 두려워 한다.
입원기간이 길면 길수록 보험사에서 귀찮게 할 것이나 의연하게 대처한다.
부상이 심한경우에 입원치료를 받는 것은 기본이다.
합의시도나 퇴원 내지 통원을 제촉하니 유리한 입장이 된다.
치료병원(의사)은 대부분은 내편이나 가끔은 보험사의 대변인임을 유의한다.
입원치료를 받을 여건이 안되면 통원치료를 받는다.
통원이라도 최소한 1주일이나 10일에 한번은 치료를 받아야 한다.

제3조: 과실에 대해서는 냉정하라

보험사와 합의할 때 보상금을 결정하는 기초사실이 된다.
사고내용의 진술은 상식적인 수준에서 진실만을 얘기한다.
가능하다면 가해자로부터 잘못을 인정하는 확인서를 받는다.
부상이 심하면 가해자의 일방적인 진술에 의존하여 사고사실이 불리할수 있다.
따라서 사고현장이나 사고차량의 사진을 충분히 찍어 분쟁에 대비한다.
경찰서에서 조사시 절대 흥분하지말고 자기 주장을 또박또박 진술한다.
진술서에 서명 날인할 때는 반드시 본인의 진술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사고조사 결과가 불합리하면 해당경찰서의 상급기관에 이의신청을 제기한다.
차대차 사고이면 자신의 보험사에도 통보하고, 필요할 땐 도움을 받는다.
자신의 동의없이 가해보험사와 과실관계를 함부로 결정하지 못하게 한다

제4조: 정보를 Open하지 마라

나의 모든 정보를 보험사에게 알려주면 지는 싸움일 수 밖에 없다.
모르는 것이 약이 될 수도 있으나 아는 것이 힘, Power다. 명심하자!
보험사에서 보상을 위해 필요하다며 확인서, 동의서 등의 작성을 요구한다.
확인서는 기본사항으로 이름,주소,연락처만 대략 알려준다.
반드시 정확하거나 충분한 내용을 알려줄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의무기록일체에 대한 열람, 복사에 동의한다"는 동의서는 작성해주지 않는다.
특히 디스크 환자는 절대로 동의서를 작성해주지 않는다. 100% 불리하다.

제5조: 직업은 적극 PR하라

보험사와 합의할 때 적정 보상금을 수령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된다. .
그러므로 쉽게 open하면 불리하다.
회사원,사업,노가다 등 추상적으로 얘기하고 더 이상은 어렵다고 한다.
소득이 어느 정도인지 궁금해 하면 아주 많이 번다고만 한다. .
이렇게 하는 것은 보험사가 적은 돈으로 보상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즉 보험사는 이런 저런 이유를 달아 최저 소득인 일용임금만을 고집한다.
그러니 처음부터 자신을 노출하여 손해를 당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이해가 되고 용기가 생기면 평소의 희망직업 및 소득을 얘기한다.
단, 합의할 시기나 생각이 있으면 주위의 전문가(변호사 등)와 상의한다.
그리고 나서 법률상 인정 받을 수 있는 최종 직업을 주장한다

제6조: 지급기준에 현혹되지 말자

보험사는 자기들이 만든 약관상 지급기준이 절대적 진리인양 주장한다.
그러나 피해자는 법률상 인정되는 모든 손해액을 받을 권리가 있다.
그러므로 보상이 안된다는 말에 현혹되지 말자.
예를 들어 휴업손해도 80%만 인정하나 법원에서는 100% 전액 인정된다.
특히 지급기준은 법원에서 인정하는 통계소득을 고려하지 않는다.
그래서 소득입증이 곤란한 자영업자 등은 일용임금만 인정해 큰 손해를 본다.
급여소득자의 경우에는 갑근세 등 세금을 공제한 급여만을 인정한다.
또한 후유증이 있어도 근무하고 있으면 상실수익액을 인정할 수 없다 한다.
다만 생색을 내려고 예상되는 상실수익액의 50%를 위자료로 준다고 한다.
치료과정에서는 간병비,특진비, 병실차액료 등 지급되지 않는게 너무 많다.
법원에서는 거의 인정되니 증거자료(사진촬영,영수증,소견서 등)를 챙긴다

제7조: 민원을 접수하라

보험사에서 가장 싫어하는 단어다.
치료과정에 있어서 직원의 태도가 불량하거나 무례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
싸우거나 흥분하지 말고 민원담당부서 또는 사장실에 차분하게 항의를 한다.
또한 치료비나 가불금의 요청시 곤란하거나 당장은 지급할 수 없다고 한다.
이것은 환자의 경제적 곤궁을 이용해 적은 돈으로 합의하기 위한 목적이다.
따라서 피해자가 볼때 보상업무에 대한 불만 및 분쟁이 생길수 있다.
특히 나름대로의 근거를 대면서 돈을 주지 않거나 일부만 지급한다.
그러므로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으면 더이상 보험사랑 얘기할 필요가 없다.
조용히 금융감독원 및 한국소비자보호원에 민원을 접수한다.
그럼에도 담당자가 불쌍하다면 일단은 감수하고 나중을 기약하라

제8조: 장해진단서는 가장 유리하게 받아라

보험사와 합의할 때 합의금을 결정하는 절대적인 요소다.
치료가 종결되고 더 이상 호전이 없으면 후유증이 남는 것을 염려해야 한다.
소송을 하지 않고 합의를 하더라도 합의금이 절충되면 진단서를 발급 받자.
장해진단서가 먼저 필요하다고 하면 가장 높은 장해율로 진단서를 받아놓자.
그리고 보험사에서 지정 또는 추천하는 병원은 피한다.
위 병원에서 장해진단서를 끊는다는 것은 싸움을 포기하겠다는 의미다.
보험사는 이미 설정한 기준이 있어 그 이상은 인정하지 않으려고 한다.
따라서 보험사가 제시하는 금액이 마음에 들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높은 장해진단서는 소송에서 유리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향후치료비추정서는 종합병원급 이상에서 받아야 유리하다.

제9조: 합의에서 승리하라

보험사와 합의절충과정은 한마디로 전쟁을 치르는 것이다. .
보험사는 단기전에 아주 강하다. 그러므로 장기전을 펼쳐야 한다.
합의금은 보험사에서 먼저 제시하도록 유도한다.(오히려 먼저 제시하라고 요구한다면)
그래서 금액이 제시되면, 그 금액의 2~3배를 제시한다.(역시 희망금액의 2~3배 제시함)
단, 정말로 몸이 아프지 않다면 or 손해가 거의 없다면 돈 몇 푼 때문에싸우지 말자.
합의에 실패하더라도 실망하지 말자, 여유를 가져라!
단기전에 패한 보험사의 낙담과 아쉬움이 훨씬 더 크다.
그리고 시간은 다소 걸리지만 강력한 무기인 소송이 있음을 명심하자.
만약 합의가 되었다면 보험사 직원이 정말로 고생했다.
박카스라도 1box 사주자.
형사합의의 경우는 안전장치를 확보하고 합의해 주는게 좋다

제10조: 전문가의 도움을 반드시 받아라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다.
빠르면 사고가 발생한 때부터 아무리 늦어도 합의하기 전에는 도움을 받는다.
전문가는 변호사 등이 있으나 진짜 전문가는 PAX보험이다.

Bonus: 사망처리의 10단계

최초 경찰서를 방문할 때 사고내용을 분명하게 파악한다.
피해자의 과실이 있다면 사고현장을 반드시 확인한다.
사고현장과 사고차량에 대하여 충분한 사진촬영을 해놓는다.
전문가와 반드시 상담하여 조언을 구한다.
사고내용에 의문점이 있으면 사고 재조사를 요구하는 민원을 제기한다.
피해자의 직업에 대해서는 법률적 판단을 한 이후에 보험회사에 알려준다.
형사합의는 손해배상금액에서 공제되지 않도록 안전장치를 확보한 이후에 가급적이면 해주자
전문가와 상의하여 법원에서 인정 받을 수 있는 손해배상금을 확인한다.
소송말고 합의할 경우의 금액에 대하여 보험회사와 절충과정을 거친다.
소송을 제기할 경우, 보험사랑 직접 합의할 경우의 실익여부를 검토, 최종적인 결론을 내린다.

 

제1조: 피해자(물)을 확인하라

비상등을 켠 상태에서 차를 세우고 내린다.
먼저 유감의 뜻을 전한다.
다친 곳이 있는지 없는지 알아보고 피해정도를 파악한다

 

제2조 : 인적사항과 연락처를 교환

신분증을 서로 교환하여 반드시 신분확인 및 이름, 주민번호, 면허번호 등을 적는다.
운전면허증을 줄 필요는 없다.(싸가지 없이 보채는 자는 주민증으로 달래라.)
상대방에게 반드시 가입보험회사와 정확한 연락처를 적어 준다.
실랑이를 하지말고 필요하다면 사고확인서를 적어준다.(절대 각서를 써주면 안된다)

 

제3조: 사고현장 보존과 차를 안전지역으로 옮겨라

사고당시 차량상태, 파편의 흔적 등을 스프레이나 사진촬영 등으로 표시한다.
목격자가 있다면 확인서를 받거나 연락처를 알아 놓는다.
본인 과실이 많다고 생각되면 위2개항도 번잡하므로 생략한다.
사고차량을 일단 안전지역으로 옮겨 교통혼잡 및 제2의 사고를 예방한다.
치료나 수리를 할 경우에 연락을 줄 것을 요청한다.
요청하시면 이상 없이 보험처리가 되도록 조치할 것을 약속하며 헤어진다.

 

제4조 : 피해자를 가까운 병원으로 후송

가. 피해자의 부상정도가 경미한 경우
보행이 가능하고 대화가 되면 함께 병원으로 갈 것을 권유한다.
굳이 괜찮다고 하더라도 신분확인과 연락처를 반드시 교환한다.
자신의 차나 택시 등을 이용하여 병원으로 가서 응급치료를 받게 한다.
치료병원 원무과의 자동차보험 담당자에게 차량번호와 보험회사를 알려준다.
나. 피해자(물)의 부상(파손)정도가 심한 경우
긴급한 상황이므로 위 2조 및 3조 내용은 자동으로 생략된다.
의식을 잃거나 보행이 곤란하고 피가 흘러 내린다면 즉시 병원으로 후송한다.
가능하면 후송차량은 119구조대나 병원의 ambulance를 이용한다.
시간이 허용되면 위 3조 내용에서 사고현장을 있는 그대로 보존한다.
보존한 범위에서 증거확보를 하고 피해자나 차량을 안전지역으로 옮긴다.
차량이동이 어렵거나 곤란시 보험사의 차량고장 긴급출동서비스를 이용한다.
자신도 의식을 잃거나 피해자의 후송을 위하여 긴급히 병원으로 이동하였다면,
목격자의 신고 등에 의하여 경찰 또는 119구조대, 견인차가 출동한다.
그래서 사건이 자연적으로 수습되는 과정을 밟는다.
그러니 사고현장이나 차량 등이 어떻게 처리될까 머리 싸매고 고민하지 말자

 

제5조 : 심한 사고만 경찰서에 신고

경찰서 신고시 사고운전자에게 유익한 것은 없다.
최소한 범칙금납부나 벌점이 부과되는 행정상 책임이 있다.
특히 10대중과실을 위반한 사고의 경우에는 책임이 아주 무겁다.
가벼운 사고일지라도 형사상 및 행정상 책임으로 벌금형과 면허정지 등을 당한다.
벌금인 경우 통상 100만원 이상이 나온다.
하늘을 우러러 한 점 책임이 없다고 생각되면 즉시 신고하라.
경찰서에 신고하지 않더라도 1조 및 2조 내용은 반드시 이행하여야 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피해자를 병원까지 후송하여 응급치료를 받게 한다.
위와 같이 사고발생에 대한 조치를 한 상태에서 보험사에 사고처리를 신고 한다.
보험회사에서도 보험사기가 아닌 한 이상 없이 처리해준다.

 

제6조 : 보험사는 비서다. 무조건 보험처리!

월급(보험료)을 주었다면 일을 시키는 것이 당연하다.
사고가 나면 보험처리를 할까? 말까? 망설일 이유가 없다.
보험료가 할증되는 것(특별 보너스를 주는 것)은 차후의 문제다.
자비처리시 추가처리를 계속 요구당하여 나중에 보험처리를 하면 분쟁의 소지가 있을수 있다.
그러므로 미신고에 따른 분쟁을 미리 막는 것도 하나의 이유이다.
또한 자기과실이 없으면 보험처리해도 보험료가 할증되지 않는다.
신고로 인한 불편함을 감수하기가 힘들 정도로 경미하다면 자비로 처리하라.

 

제7조 : 경찰서에서는 주장을 분명히

경찰에 출두하여 당당한 조사를 받는다.
사고내용을 진솔하게 얘기하며, 절대로 잘난척하거나 짜증을 내지 말라.
현장확인이나 검증에서 진술과 다른 점이 있다면 반드시 지적한다.
조서내용에 대해서는 반드시 읽어보고 진술과 같을 때 서명 날인한다.
거동이 불편한 경우 적극적인 자의 도움을 받아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한다.
조사결과에 대하여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재조사를 요구하는 민원을 제기한다.
민원은 해당경찰서의 상급기관으로 지방경찰청, 경찰청, 검찰청에 접수한다.
민원을 제기할 정도면 보험회사에 구체적 상황을 설명하고 도움을 요청한다.

 

제8조 : 형사합의시 전문가의 도움을 구하라.

형사합의는 피해자에게 돈을 주고 합의서를 받는 것이다.
법률상 제도는 아니나 형사처벌을 가벼이 받을 목적으로 관행화되어 있다.
사망이나 도주사고 및 10대중과실 위반사고가 여기에 해당된다.
단, 10대중과실 위반사고라도 형사합의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가 있다.
피해자의 초진이 통상 6~8주 미만이면 관행상 약식기소로 벌금형이 결정된다.
따라서 정식재판이 예상되는 사건은 형사합의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정식재판이 예상되는 사건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도록 하라!
형사합의가 최선이나 원만히 해결되지 않으면 차선으로 공탁제도를 이용한다.
형사합의금은 통상 1주당 50만원 내지 80만원 정도로 형성된다.
공탁은 형사합의가 안되는 경우에 하며 형사합의금의 약 1/2 수준이다.

 

제9조 : 민사책임에 대해 내 돈을 쓰지마라.

법률상 모든 손해에 대하여 보험사에서 책임을 지니 별도로 돈을 줄 이유가 없다.
보험회사에서 보상되지 않는 손해는 본인도 책임이 없는 것이다.
각서 등을 써주므로 인하여 늘어난 손해는 보험회사에서 책임을 지지 않는다.
피해자가 귀찮게 하더라도 모든 것을 보험회사에 맡겼다고 정중하게 얘기한다.
본인의 양심에 따른 도의적인 책임을 지는 것은 그 누구도 탓하지 않는다.

 

제10조 : 보험처리하면 결과보고를 받아라.

월급(보험료)을 주고 일(보험사고처리)을 시켰으면 처리결과를 통보 받는다.
보고내용은 보험처리로 인하여 보험료가 얼마나 할증되느냐? 이다.
보고기한은 2~3개월 정도로 그 이상 소요되면 많은 돈이 나간다는 뜻이다.
자비로 처리하시는 것보다 보험료 할증 금액이 많다고 한다면?
이때 보험금을 청구하는 것을 포기하고 지급된 보험금을 보험회사에
납부한다.
그러면 자비처리의 결과가 되어 피해자와 합의하는 등의 고생을 덜게 된다.
부상이나 파손정도가 너무 심하다면 번거로우니 보고조차 받을 필요가 없다.
자기과실이 없는 사건은 보험료 할증 자체를 생각할 필요가 없다.

바쁘게 하루하루를 보내는 샐러리맨이라면 정기적으로 정비소에 들러 이상 부위를 체크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평소 조금만 자동차에 관심을 가진다면 운행 중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소리만을 듣
고도 어느 부위에 이상이 있는지 대략 짐작이 가능하다.

(1) 시동걸 때 나는 '끼릭' 소리

(2) 시동 또는 가속 시 나는 '삐익'소리
(3) 주행 시 발생하는 '달그락'소리
(4) 가속 시 나는 '까르륵'소리
(5) 때 아닌 주차 경고등과 요란한 '삐익' 소리

(6) 타이어에서 들리는 '탁탁'소리
(7) 주행 시 들리는 '우르륵'소리

(8) 차량이 흔들릴 때 나는 불규칙한 이상음
 
   

(1) 시동걸 때 나는 '끼릭' 소리


시동을 걸 때 시동모터 돌아가는 소리가 경쾌하지 않고 '끼릭' 하는 단발성 소리만 내고 끝나면 배터리 내부에 머
금은 전기의 양이 떨어진 것으로, 전기장치 어딘가에 고장이 있다는 뜻이다. 이런 경우는 충전 장치에 고장이 있
거나, 실내등이 켜진 상태로 주차를 한 경우, 혹은 노후로 인해 배터리 수명이 다 되어 방전된 경우이니 배터리를 충전, 혹은 교환하도록 한다. 



(2) 시동 또는 가속 시 나는 '삐익'소리


시동이 걸리는 순간이나 가속페달을 밟을 때 '삐~익' 하는 시끄러운 소리가 발
생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벨트 장력이 이완되었거나 마모로 인해 교환 할 때
가 되었다는 뜻인데, 특히 에어컨 벨트가 늘어졌을 경우는 시동 후 가속시 유난
히 큰 소음을 유발시킨다. 



(3) 주행 시 발생하는 '달그락'소리

주행을 할 때 하체에서 달그락거리는 소리가 나면서 차량의 출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동반된다면 소음기 중앙부
에 장착되어 있는 촉매변환기 내부가 파손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 촉매 변환기는 불완전 연소가스를 다시 재연
소시켜 환경에 유해한 가스의 배출을 막아주는 기능을 한다. 그런데 내부에 벌집모양으로 생긴 촉매제가 파손된
경우 배기가스가 나가는 파이프를 막아 배출을 못하게 되어 출력을 크게 저하시킨다. 이렇게 촉매변환기가 파손
되는 고장은 평소 엔진이 부조하는 차량을 수리하지 않고 그대로 운행하는 경우나 산악도로의 돌출 물과의 충격
에 의해 파손되어 일어나기도 한다. 
 


(4) 가속 시 나는 '까르륵'소리

가속페달을 밟을 때 평상시와는 달리 '까르륵' 하는 소음이 들리기도 하는데 이 소리를 '노킹소리'라고 한다. 이는
불량연료를 넣었거나 엔진의 초기점화시기가 맞지 않을 때 흔히 발생한다. 이 현상은 엔진에 많은 부담을 주어
엔진과열 등 기관에 치명적 손상을 줄 가능성이 많으므로 정기적으로 점화시기를 점검하도록 한다. 
 


(5) 때 아닌 주차 경고등과 요란한 '삐익' 소리


가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하지도 않았는데 계기판에 주차 경고등이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 이는 브레이크 라이닝이 마모되었음을 간접적으로 운전자에게
알려주어 미리 수리하라는 신호이다. 만일 이를 무시하고 그대로 운행을 하면
'삐~익' 하는 아주 요란한 소리가 나게 된다. 이것은 라이닝 마모시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일부러 만든 떨림용 철판을 브레이크 패드에 함께 부착해서 마
모가 일정 한도에 도달할 때 나는 소리이다. 이런 소음이 나면 즉시 패드나 라
이닝을 교환해야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고 브레이크 디스크의 손상도 막을 수
있다. 
 


(6) 타이어에서 들리는 '탁탁'소리


달리는 속도와 비례해 타이어에서 '탁 탁' 하는 소리가 난다면 타이어의 접지면에 못이나 돌과 같은 이 물질이 박
힌 경우다. 타이어에 못이 박힌 경우 그 자리에서 곧바로 제거하면 바람이 빠져 운행을 하지 못하므로 가능하면
그 상태로 서행하여 인근 정비업소에서 이를 제거하고 수리하는 것이 좋다. 
 


(7) 주행 시 들리는 '우르륵'소리


문을 닫고 운행해도 '우르륵' 하고 시끄러운 소리가 심하다면 바퀴에 장착된 허브 베어링이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허브 베어링은 바퀴를 잘 구르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내부에 그리스가 고갈되면 베어링이 저
항을 받고 열을 발생시켜 열처리된 부분에 박리현상을 일으키게 한다. 이때에도 신속히 정비공장을 찾아 이상 부
위를 수리하여야 한다 
 


(8) 차량이 흔들릴 때 나는 불규칙한 이상음

요철도로를 주행 할 경우에 차량이 흔들릴 때마다 단발성이고 불규칙적으로 '삑~삐' 하고 소리가 날 때가 있다.
이 소리는 차량의 흔들림을 막아주는 활 모양으로 생긴 스테빌라이저바를 잡아주는 고무부싱에 이상이 있을 때
주로 발생한다. 주로 비포장 도로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고무부싱을 교환하면 대부분 제거된다. 

브레이크 액이 정식명칭입니다. 브레이크 오일은 틀린 명칭이지요.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많이 사용되는 브레이크 액은 DOT3와 DOT4 가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오일성분이 아닌
에틸렌 글리콜성분입니다. 알콜과 매우 비슷한 성분이지요.

브레이크액은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제동력에 의해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를
거쳐 각 바퀴의 캘리퍼나 휠실린더에 압력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그 중요도가 매우 높
습니다. 그런데 메이커에서 권장하는 교환주기인 2~30000km 마다 교체가 거이 지켜지지
않고있는 실정이죠. 실제로 거의 교환하지 않아도 일반운전자들이 거의 차이를느끼지 못
할만큼 성능상 저하가 없는것도 사실이긴합니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브레이크액의 주성분은 비광유계인 글리콜(Glycol)계 좀더 정확히
말하면 에틸렌 글리콜이 주성분입니다. 글리콜계는 수분을 매우 잘 흡수합니다. 수분을
잘 흡수하지 못한다면 브레이크액과 물이 분리되어 금속 부분에 부식을 일으키고 겨울철
에는 분리된 수분이 동결되어 제동의 상태가 급격히 저하됩니다.

그래서 브레이크액은 오일성분이 아닌 수분을 잘 흡수하는 에틸렌 글리콜계를 사용합니
다. 브레이크 오일의 규격으로는 DOT3 와 DOT4가 있는데, 이는 끓는점의 차이입니다.
DOT3의 끓는점은 수분이 전혀없는 상태에서 205도, 그리고 수분이 다량 함유된경우에
140도이며, DOT4는 수분이 전혀없는 상태에서 240도, 수분이 다량 함유된경우 155도 입니다.

그러면 DOT4를 사용하면 좋겠지만, 끓는점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글리콜의 함유량이
많아져서 수분에 더더욱 취약합니다. 그만큼 수분흡수를 잘한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따라서 브레이크 액의 교환주기가 DOT3보다 짧아서 경제성 측면에서는 불리합니다.
브레이크는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수분이 다량 함유된 브레이크 액을 사용할때는 고속
제동이나 내리막길 제동에서 브레이크 액이 끓어버리는 베이퍼록 현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실제로 일반적으로 운전할때 베이퍼록을 경험하기는 힘들지만, 시속 160에서 급제동을 시
작하면 대부분의 국산차들은 시속 40정도까지는 급격히 속도가 떨어지지만 그 이후로는
브레이크가 거의 말을 듣지 않습니다. 베어퍼록이 발생한것이지요. 메이커에서 로우 코스트
화를 위해서 브레이크 디스크를 넉넉하게 설계하지 않아서 브레이크 디스크에 열들이 축
적되고, 이 열은 발산하지 못해서 브레이크 액을 끓게 만듭니다. 한번 이렇게 열을 받은
브레이크 디스크는 변형되어 제 역할을 하지 못합니다.

이때 브레이크 액이 수분함유량이 낮다면 베이퍼록 현상은 오히려 더 늦게 나타나게 되고
차는 그만큼 빨리 제동을 마칠수가 있었겠지요... -_-;;
이처러 브레이크 액은 필수교환 품목중의 하나입니다. 그냥 보충만해서 타는것이 아니지요.
실제로 브레이크액은 보충할 필요가 전혀없습니다. 만일 보충할정도로 유실이 된다면,
다른부분을 점검하여 브레이크액이 새는부위를 수리해야 합니다.

이토록 브레이크액을 한번도 교체하지 않고 5년이상 타게되면 그때부터 여러가지 부분에서
문제점들이 속속 발생하게 됩니다. 바로 브레이크 캘리퍼의 리턴불능현상이 나타나지요.
브레이크액에 있는 다량의 수분으로 인해서 캘리퍼나 마스터 실린더의 녹을 촉진시키게 되고
이 녹은 마스터 실린더 내부의 고무부품의 경화로 마스터 실린더가 터지거나, 캘리퍼 피스
톤의 부트고무를 경화시켜 고무가 찢어지거나, 캘리퍼 피스톤이 고착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5년정도의 차령을 가진차들이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하러 왔을때 캘리퍼를 리턴시키려면 어지
간하게 힘들거나 캘리퍼가 고착된경우를 자주 봤었거든요... 브레이크 액은 적절한 시기가
되면 (메이커 권장 2~3만킬로미터) 교체하자 입니다.

그리고 클러치 액또한 브레이크액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역시나 클러치계통도 브레이크액을
교체할때 같이 교체해주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브레크액이 꺼멓게 변해있다만 비중계로
찍어보시면 십중팔구는 수분함유량이 기준치를 넘어선 상태입니다. 수분이 너무 많아서 녹
과 함께 색깔이 탈색된것이구요...
최적의 연비개선을 하려면 퓨얼컷을 지나칠 수 없다.

퓨얼컷방법을 간단히 요약하면,
자동차의 관성을 이용하여 최대한 연료를 아끼는 방법이다.

연비개선은 많은 전문가들이 이야기하듯, 1)정속운행, 2)최적가속 3)타력운전 으로 나눌수 있다.



퓨얼컷을 자세히 소개한 부산일보기사를 소개한다.

-------------------------------------------------------------------------------------

퓨얼컷(fuel-cut) 운전 연비개선 '확'                              
                                                                                     < 2003년 4월 2일자 부산일보 >
 
'한방울 기름이라도 아끼자!' 이라크 전쟁 영향으로 휘발유값이 ℓ당 1천400원을 넘나드는 사상 초유의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자 연료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운전방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일부 자동차 전문가들 사이에서 알려지고 있는 '퓨얼컷(Fuel Cut·연료차단) 운전법'을 활용, 지난 30일 일반 승용차 13대로 경부고속도로 '부산~남구미' 구간(총 345㎞)을 실제로 달려봤다.
 
 
△퓨얼 컷 운전법이란=
 
요즘 승용차는 모두 컴퓨터(ECU)가 연료분사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액셀러레이터를 밟고 3천rpm으로 달리다가 페달에서 발을 떼면 이 차의 컴퓨터는 운전자가 더 이상 가속하려는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해 엔진에 연료공급을 중단하게 된다.
 
페달에서 발을 뗀 이후에는 차의 관성력에 의해서만 움직이고, 이 거리만큼 연료를 거의 들이지 않고 달리게 된다.
퓨얼 컷 운전법은 바로 이 같은 차량의 관성과 위치에너지를 활용해 기름을 아끼는 주행법을 말한다.
 
퓨얼 컷 운전기법은
△최적가속 △정속운전(일정속도 유지) △타력운전(감속구간) 등 3단계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최적가속은 액셀러레이터를 4분의 3까지만 밟고 가속하는 것을 말한다.
페달을 끝까지 밟는 것보다 4분의 3이 최고효율을 내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속운전은 주행 중 일정 속도에 도달하면 액셀러레이터를 약 10% 깊이로 밟아 연료소모량을 최소로 줄여 운행하는 것.
 
타력운전은 일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한 뒤 액셀러레이터에서 발을 뗀 뒤 차량의 움직이는 관성에 의해 운행하는 것으로, 페달에서 발을 떼고 기다리면 뒤에서 살짝 미는 느낌이 드는 지점이 연료가 재공급되는 시점으로 이때 다시 정속운전을 하면 된다.
 
 
△퓨얼 컷으로 운전하기=
 
부산을 출발, 경부고속도로 언양구간에 진입하자마자 한국의 전형적인 오르막내리막이 반복된다. 오르막길에 들어서기 500m 앞에서부터 전방 운행상황을 확인한 뒤 액셀러레이터를 4분의 3 깊이로 밟고 가속한다.
이때 페달을 끝까지 밟지 않는 것과 미리 속도와 엔진회전수를 올리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 이어 언덕 정상에 가까이 갔을 때는 페달에서 발을 완전히 뗀다.
즉 지금까지 최적가속으로 올린 속도와 관성으로 내리막길을 주행하면 된다.
 
이 구간에서는 연료가 소모되지 않아 사실상 '공짜운행'구간이다.
내리막길에서는 엔진회전수가 1천500rpm 이상으로 올라가 연료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어를 중립에 놓으면 엔진마모는 물론이고 연료가 소모된다.
 
이어 왼쪽으로 언양 메가마트 건물이 보이는 평지구간에 접어들면 정속운전한다.
이런 평지구간에서는 액셀러레이터를 10% 깊이로만 밟고 운전하면 된다.
주의점은 혹시 차량 라디오 음악에 취해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자꾸 조작하면 그때마다 연료소모가 급격해진다는 것.
당연한 이야기지만 앞차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페달을 놓아 타력운행하다가 멀어지면 서서히 가속하면 된다.
 
남구미를 거쳐 다시 부산시내로 접어들었다.
시내에서는 멀리 보이는 신호등에 붉은색이 들어왔을 때 액셀러레이터에서 발을 뗀 뒤 엔진회전속도가 1천500rpm이 될 때까지 타력으로 달린다.
페달을 밟으면 연료가 분사되고 연료소모 없이 달릴 수 있는 거리가 줄어든다.
 
 
△운행 결과=
 
기자가 탄 그랜저XG 차량은 퓨얼 컷 기법으로 350㎞를 운행한 결과 놀랍게도 눈금이 겨우 한 칸 내려간 정도였다.
시험운행 결과 실제 연비는 공인연비보다 138~180%가량 증가한 것으로 실측됐다(표). 서울55더 50×× 엘란트라 승용차는 공인연비가 ℓ당 15.7㎞이지만 퓨얼 컷 운전법으로 운행한 결과 ℓ당 23.1㎞의 연비를 보여 147% 증가율을 나타냈다.
 
시험운행을 주관한 립싸이언택 김재박 대표는 '일반인 대상으로 도로 실주행 연비평가를 수행한 결과, 누구나 조금만 운전기법을 익히면 공인연비 대비 150% 이상 주행할 수 있다'면서 '도로상황을 미리 파악해야 하므로 방어운전에도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브레이크 패드 교체직전의 증상
1. 앞바퀴쪽에서 뀌뚜라미소리가 나더군요. 끼리리리리릭~~~
  고속도로에서 시속80~90km/h정도 가속할때 특히 고주파음의(가늘고 작은) 소리가 심하게 나고,
  그이외의 속도구간에서는 소리가 안나더라구요.

2. 그후 보름정도 더 지났더니 시속 30km/h대에서 저주파음의(굵고 큰) 소리가 추가로 나더라구요.
    (거의 모든 속도구간에서 소음이 발생하게 됨)
 
3. 소리가 날때, 브레이크를 잡아주면 소리가 사라지더군요.
   하지만 브레이크를 다시 떼는순간, 끼리리릭~ 소음이 다시 나더군요.

 
소음이 났던 이유
1. 이것저것 혼자 끙끙대면서 알아본결과, 브레이크패드가 다 닳아서 나는 소리더라구요.
 
2. 보통은 브레이크 밟을때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인디케이터(브레이크에 붙어있는 강철)가
   브레이크 디스크를 긁어서 경고음을 내는겁니다.
 
3. 저의 경우에는 반대로, 브레이크를 밟으면 소리가 없어지고, 일반 주행중에 소리가 나서 한동안 헷갈린거지요...
   카센터에서 교체받으면서 이야기해봤더니,
   브레이크를 밟을때 인티케이터가 소리를 내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주행중에 소리를 낼수도 있다고 하더라구요...

저렴하게 처리한 브레이크패드 교체비용
1. 인터넷에서 상신 '하드론 프리미엄' 구매 : 브레이크 25,000원, 택배비 3,000원
2. 카센터에서 교체 공임 : 10,000원
   (원래는 바퀴당 10,000원 해서, 앞바퀴 두개면 20,000원 받는데, 카센터에서 많이 깎아줌)
 
==> 교체 총 비용 = 38,000원

타이밍벨트는 간단히 '벨트'이다.
그 역할은 '타이밍'을 맞춰주는 것이다.

무슨타이밍?
엔진에 연료가 혼입된 공기를 주입할 타이밍, 연소된 가스를 엔진밖으로 배출할 타이밍...
이러한 타이밍에 오차가 생기게 된다면, 엔진에서 덜덜덜 거리는 현상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것은, 타이밍벨트가 끊어지는 경우,
타이밍벨트가 끊어지면, 피스톤까지 파손된다. 따라서 수리비가 엄청 커지게 된다. (DOCH엔진)

왜 타이밍벨트가 끊어지면 엔진까지 망가질까?
피스톤이 공기를 압축하는 도중에는, 흡기든 배기든 밸브를 열면 안되는데,
타이밍벨트가 끊어지면, 이 밸브랑 피스톤과 부딪히게 되고, 그 결과
피스톤, 엔진헤드가 망가지게 된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에 타이밍벨트를 교체해줘야 한다.
차량마다 제조회사에서 적절한 타이밍벨트 권장 교체시기가 있다.

그 교체시기가 아니라도, 직접 교체시기를 확인해보도록 하자.

차가운공기상태에서 (겨울, 아침등) 시동을 걸면서 소리로 진단이 가능하다.

엔진돌아가는 소리말고 벨트소리를 듣는다.


밸트 때리는 소리가 '다다다다'처럼 들리게 되는데, 이 소리가 처음에는 크게 들리다가 점점 작아져서 1분이내에 사라진다.


이런현상이 나타나면 가급적 빨리 타이밍밸트를 교체하도록 한다.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 Recent posts